✏️ 공부/JavaScript
[JS] 비교 연산자
minzyee
2022. 1. 28. 18:21
비교 연산자
크다 | 작다 | 크거나 같다 |
작거나 같다 |
같다 | 같지 않다 | |
수학 | < | > | ≤ | ≥ | = | ≠ |
JS | < | > | <= | >= | == | != |
a = 3
= 을 사용하는 것은 두 값이 서로 같은지 비교를 하는 것이 아니라 '할당'을 의미한다.
'a에 3이라는 값을 넣었다'라고 이해하기
a == 3 (동등연산자)
a랑 3이랑 같은지 알고 싶을 때 사용
a != 3
a랑 3이랑 다른지 알고 싶을 때 사용
비교 연산자를 사용하면 값이 반환되는데
그 반환 값은 항상 Boolean형인 true or false로 나타남
console.log(20 > 10); //true
console.log(20 == 10); //false
console.log(20 != 10); //true
'동등 연산자(==)'는 이상하게 동작할 때가 있다.
숫자형과 문자형을 비교했는데, a와 b가 같다고 나왔다.
피연산자들의 값 만을 비교하기 때문이다.
const a = 1;
const b = '1';
console.log(a == b); //true
그래서 피연산자들의 값과 자료형의 타입을 함께 비교하는 '일치 연산자(===)'를 사용한다.
때문에 가급적 '동등 연산자'보다는 자료형의 타입까지 비교해주는 '일치 연산자'를 사용하기를 추천한다.
console.log(a === b); //false
코딩앙마님의 JS 기초 강좌를 참고하여 정리한 글 입니다.
반응형